두 선배 이야기
두 선배 이야기
  • 데일리모닝
  • kuh3388@dmorning.kr
  • 승인 2014.04.04 12:1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류제경 전남 고흥교육장

▲ 류제경 고흥교육장
[데일리모닝] 개그맨 이동우 씨는 결혼하고 얼마 후에 ‘망막 색조 변성증’으로 시력을 잃었다. 그 사연을 전해들은 천안에 사는 40대 남성이 눈을 기중하겠다고 했다.

기쁜 마음에 한달음에 달려간 동우 씨는 그대로 돌아오고 말았다. 눈을 주겠다는 그 분은 사지를 못 쓰는, 오직 성한 곳이라고는 눈밖에 없는 ‘근육병’ 환자였던 것이다.

“나는 하나를 잃고 아홉을 가졌는데, 그분은 오직 하나 남아 있는 것마저 주겠다고 합니다. 내가 어찌 그걸 달라고 할 수 있겠습니까?”

그러면서 동우 씨는 생각했다. 자기 손으로 밥을 먹고 편안하게 호흡을 할 수 있으며, 자기 의지대로 걸을 수 있고 마음 기댈 곳이 있다는 것이 얼마나 감사한 일인가. 절망 속에 나날을 보내고 있던 동우 씨는 세상을 보는 눈을 다시 뜨게 되었다.

동우 씨의 경우를 떠올리면 오랫동안 교분을 맺어오고 있는 두 분의 선배가 생각난다.

한 분은 풍기는 이미지가 꼭 부처님 같다. 불교 신자라서 그렇게 비유 했으리라는 오해는 안했으면 좋겠다. 예수님 같은 선배라고 하면 글맛이 어쩐지 좀 덜하고 또 그 선배의 평상시 표정이 법당 안의 부처님 미소를 너무 많이 닮아서 그렇게 비유했을 뿐이다.

보증 서 달라는 후배의 부탁을 차마 거절하지 못하여 혹독한 대가를 치렀던 그는 지금도 빚을 갚으며 살고 있지만 ‘그게 무슨 대수냐’라는 듯이 편안한 미소를 잃지 않는다. 이 사람 저 사람 붙들고 갖은 저주를 다 퍼부어도 시원찮을 판인데 사기 친 그 후배에게 욕하는 것을 들어 본 적이 없다.

“오죽 다급했으면 그랬겠어. 내가 빈손으로 태어난 것은 세상이 다 아는 사실 아니여? 열심히 모아서 집 한 채 샀는데 하루아침에 날리고 보니 좀 섭섭하기는 하지만 어려운 후배에게 적선한 셈 치면 되지 뭐. 그보다 더한 일 당한 사람도 많은데 그만 한 것도 다행이지.”

그 ‘인간부처님’은 이렇게 말한다. 속 끓이고 저주를 퍼 붓는다고 사라져버린 재산이 되돌아오는 것은 아닐테니 그럴 바에야 차라리 속 편하게 생각하며 사는 것이 정답 아니겠는가. 그러고 보면 그 선배 비록 가진 것은 없어도 세상 참 잘 사는 것 같다.

자기 잘난 맛에 사는 선배가 있다. 시쳇말로 목에 힘깨나 주고 다닌다고 주변에서 말들이 많다. 알고 보면 그 선배는 참 잘 났다.

태어날 때부터 먹고 살만한 집안에서 태어났으니 잘 났고, 부모님께서 뒷바라지 잘 해 준 덕에 별 어려움 없이 대학 졸업하여 승승장구하고 있으니 잘 난 것임에 틀림없다.

그런데 그 선배에게 꼭 하고 싶은 말이 있다. 제발 잘난 체 좀 하지 말라는 거다. 잘난 사람은 자신이 굳이 겉으로 드러내지 않아도 주위 사람들이 더 잘 안다. 현직에 있을 때 당신처럼 하고 다니다가 지금은 퇴직한 주변의 선배들을 둘러보라고 권하고 싶다. 그분들이 지금도 그렇게 살고 있는지 살펴보라는 거다.

권력은 유한하고 명예는 허망한 것임을 왜 깨닫지 못하는지 모르겠다. 남의 덕으로 얻은 자리는 누리는 것이 아니라 베푸는 것임을 왜 느끼지 못하는지 모르겠다. 그러니 제발 ‘체’하며 살다가 나중에 ‘체(滯)’하지 말고 늘 ‘사(謝)’하는 삶을 살라고 말해 주고 싶다.

항상 부처님의 미소를 머금고 사는 선배나 ‘체’하며 주변 사람들 마음을 언짢게 하며 사는 선배나 그들에게 주어진 삶은 유한하다. 혹시 백년 넘게 살지도 모르겠지만 사는 동안 이왕이면 나쁜 말보다는 좋은 말 들으며 사는 것이 좋지 않을까.

어떤 가수가 일갈했다. ‘잘난 사람은 잘난 대로 살고 못난 사람은 못난 대로 산다’고. 그러나 그러더라도 이 세상에 어디 독불장군이 있을까. 남이 있음으로 인해 비로소 내 존재에 의미가 있는 것이다. 잘못된 사람이 있기에 잘된 사람이 있는 거다. 그러니 늘 주위 사람들에게 감사하는 마음 정도는 가지고 살아야 하지 않을까.

그리고 다윗 왕이 자신의 삶을 늘 경계하기 위해 반지에 새겼다는 “이 또한 곧 지나가리라” 라는 말을 삶의 지표(指標)로 삼고 살면 어떨까. 잘 될 때는 절제와 겸손을, 잘 못 될 때는 희망과 용기를 주게 될테니 말이다.

이 세상 모든 부귀영화, 이 또한 곧 지나가리니 유한한 인생, 항상 감사하는 마음으로, 겸손하게 살았으면 좋겠다. 참, 그렇다고 내가 잘 살고 있다는 것은 전혀 아니니 이 또한 오해하지 않았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