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22개시·군 중 16개 군 ‘소멸위험’
전남 22개시·군 중 16개 군 ‘소멸위험’
  • 홍갑의 기자
  • kuh3388@hanmail.net
  • 승인 2018.08.14 09:3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출산·고령화 사회, 전국 시군구 약 40% 위험…시군구별, 경북 의성-전남 고흥-경북 군위-경남 합천 순
한국고용정보원 인구통계 분석결과, 광역시별 전남-경북-강원-충남 순

▲ 전남 22개 시군 중 목포시, 여수시, 광양시, 순천시, 나주시와 유일하게 무안군을 제외한 전 군단위가 소멸 위험군에 속한다.
[데일리모닝] 홍갑의 기자 = 전남지역 22개 시·군 가운데 16개 군단위가 저출산·고령화 사회로 소멸할 위험에 처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전국적으로는 시·군·구(지자체) 10곳 가운데 4곳이 소멸할 위험에 처했다.

14일 한국고용정보원의 고용동향 브리프 7월호에 실린 이상호 연구위원의 '한국의 지방소멸 2018'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6월 기준으로 전국 228개 시·군·구 중 '소멸위험 지역'은 89곳(39.0%)으로 조사됐다.

전남지역 소멸위험지역으로는 고흥군(0.161), 신안군(0.198), 보성군(0.200), 함평군(0.210), 진도군(0.223), 곡성군(0.229), 구례군(0.237), 장흥군(0.242), 강진군(0.247), 완도군(0.253), 해남군(0.271), 담양군(0.303), 장성군(0.314), 영광군(0.321), 영암군(0.346), 화순군(0.382) 등이다.

전남 22개 시군 중 목포시, 여수시, 광양시, 순천시, 나주시와 유일하게 무안군을 제외한 전 군단위가 소멸 위험군에 속한다.
 

이 연구위원은 한 지역의 20∼39세 여성인구를 65세 이상 고령인구로 나눈 값인 '소멸위험 지수'가 0.5 미만인 곳을 소멸위험 지역으로 분류했다.

가임여성 인구가 고령인구의 절반에도 못 미칠 경우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인구감소로 지역 공동체가 사라질 수 있다고 본 것이다.

소멸위험 지수가 가장 낮은 곳은 경북 의성(0.151)이었다. 이어 전남 고흥(0.161), 경북 군위(0.169), 경남 합천(0.171) 등이 뒤를 이었다. 이들 지역은 전국 평균(0.91)에 크게 못 미쳤다.

광역시·도별로는 전남(0.47)이 0.5에 미달했고 경북(0.55), 강원(0.58), 충남(0.67) 등도 낮은 수준이었다.

서울(1.09), 경기(1.18), 인천(1.15) 등 수도권과 세종(1.59), 울산(1.23), 대전(1.18), 광주(1.13) 등 주요 도시는 1을 넘었다.

소멸위험 지역으로 분류된 시·군·구는 2013년 7월 기준으로 75곳이었으나 5년 만에 14곳 늘었다.

올해 소멸위험 지역에 추가된 곳은 강원 철원(0.480)과 부산 중구(0.491), 경북 경주(0.496) 및 김천(0.496) 등지였다. 경남 사천(0.507)과 전북 완주(0.509)는 연내 소멸위험 지수가 0.5 아래로 떨어질 것으로 전망됐다.

이에 대해 한국고용정보원은 "지방소멸의 바람이 농·어촌 낙후 지역을 넘어 지방 대도시 권역 및 공공기관 이전이 진행되는 거점 지역까지 확산하고 있음을 의미한다"고 분석했다.

전국 3463개 읍·면·동 가운데 소멸위험 지수가 0.5에 못 미치는 곳은 1503곳(43.4%)으로 조사됐다. 이는 2013년의 1229곳보다 274곳 늘어난 규모다.

이 연구위원이 2013∼2017년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터로 인구 이동을 분석한 결과, 소멸위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난 읍·면·동에서 실제 26만2000명의 인구 순유출이 발생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 연구위원은 "최근 소멸위험 지역은 도청 소재지와 산업도시, 광역 대도시로 확산하는 양상"이라며 "지방 제조업의 위기는 지역 산업 기반을 붕괴시키면서 지방의 인구 유출을 재촉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