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전남 보이스피싱 10년 동안 1000억 ‘피해’
광주·전남 보이스피싱 10년 동안 1000억 ‘피해’
  • 홍갑의 기자
  • kuh3388@hanmail.net
  • 승인 2021.09.09 12:1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광주 3125건 발생 피해액 557억원·전남 3990건 발생 피해액 462억원
유동수 의원, “감독당국 피싱사기 제도개선에 나섰지만 금융소비자 체감 힘들어…촘촘한 제도개선 절실”
더불어민주당 유동수 의원
더불어민주당 유동수 의원

[데일리모닝] 홍갑의 기자 = 광주·전남에서 최근 10년 동안 보이스피싱이 7100여건 발생해 1000억원의 피해를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유동수 의원(인천 계약갑)은 9일 경찰청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2년 5,709건 이었던 보이스피싱 사기가 지난해 3만1681건으로 5.5배 급증했다.

피해 금액 역시 2012년 595억 원에서 11.8배 증가해 2020년 말 기준 7000억 원에 달했다.

특히 지난해 동기간대비 올해 보이스피싱 발생건수는 1676건 (20년 7월 1만8726건) 증가했고 피해액은 1051억 원(20년7월 3955억 원)이 많았다.

지난해 기준 보이스피싱이 가장 많이 발생한 지역은 서울(9049건) 경기, 인천 순으로 나타났다. 피해액은 서울(2230억 원), 경기, 부산, 인천 순으로 많았다.

광주에서는 10년 동안 3125건이 발생해 피해액은 557억원 전남은 3990건 발생에 462억원의 피해를 입었다.

전기통신금융사기 피해 방지 및 피해 환급에 관한 특별법과 보이스피싱 방지를 위해 금융감독원, 법무부, 경찰청,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방송통신위원회 등 7개 기관이 참여한 협의체 출범 이후에도 보이스피싱은 매년 증가할 뿐 줄어들지 않았다.

유 의원은 “보이스피싱 범정부 협의체 활동이 과연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 의구심이 든다”며 “보이스피싱을 막기 위해서는 금융기관, 금융위원회, 수사기관 한 곳만의 노력으로는 달성되기 힘들므로 상설 전담조직을 만들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유 의원은 “현재 보이스피싱 신고 전화번호는 112도 있고 금감원 1332도 있지만 한 곳에 전화만으로 사건이 접수돼야 한다”며 “보이스피싱 신고 대표전화에 전화하면 수사와 예방 등 필요한 조치를 한 번에 할 수 있는 원스톱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고 밝혔다.